●자동차 핫이슈

 

 

1. 중국 경제


2. 중국 파업-1


3. 중국 파업-2


4. 최근 이상현상 


 

 

 

 

 

 

 

 

1. 중국 경제

 

 

 

 

 

중국은 개방정책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한 나라로 (2014)


 

 

 

 

전세계 제조업 산출물(output)의 20%가


중국에서 생산될 정도라 (2013)


 

 

 

중국은 어마어마한 경제대국이고


세계의 공장이라고 해. 


 

 

그리고 이런 중국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중국 노동자의 임금(wage)이 빠르게 상승했고 (2015)


 

 

 

중산층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2010)


 

 

 

경제구조도 3차산업(Services) 중심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2015. 중국 돈 기준) 

 

 

 

(상위 20%, 하위 20%의 가처분소득)


다만 중국 경제에는 심각한 빈부격차 문제와 (2012)

 

 

 

지나치게 높은 투자(investment) 비중 등 (2013)


 

이상한 점도 상당히 많은 편이야. ㅎㅎ (2011)

 

 

1. 중국 경제 요약


1) 중국 경제는 15년 사이에 11배쯤 증가했음. 


2) 임금 상승, 중산층 증가 등의 좋은 점도 생기고 있음. 


3) 다만 중국 경제에는 문제점도 매우 많은 편임. 



 

 

 

2. 중국 파업-1


 

 


 

중국의 심각한 빈부격차 문제로 


 

중국인들의 불만이 매우 많은 편이라 (2012)


 

 

 

중국에서 파업, 폭동, 시위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 (2010. 추정치)


 

 

 

하지만 중국의 경찰력이 


무지막지하게 강하고 


 

 

중국의 언론 통제가 무척이나 심한 편이라 


정확히 알기 매우 어려운 형편이야. (2013)


 

 

 

그래서 중국 관련 자료들은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 ㅎㅎ







2. 중국 파업-1


1) 중국의 빈부격차는 아프리카 수준으로 심각함. 


2) 그래서 파업, 시위, 폭동 등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 


3) 중국의 높은 언론 통제 때문에 알기 어려운 부분임. 







3. 중국 파업-2


 

 

 

세계경제 침체로 중국의 수출입이 


크게 감소해서 (2016)




 

 

 

중국의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이 위축되자


중국 노동자들의 파업(Labor strikes)이 


엄청난 속도로 증가했다고 해. (2015. 11)

 

 

파업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중국 남부의 광둥성(Guangdong)이고 (2014.11)


 


제조업(Manufacturing) 분야에서 


파업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연도모름)


 

외국기업들이 중국에서 철수하고 있고


중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이 위축되고 있으니 


제조업 분야의 파업 증가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2014) 

 

놀랍게도 건설업(Construction) 분야의


파업 비중이 갑자기 높아진 상태야. ㄷㄷ (2015)


 


 

 

(2015년 중반부터 다시 상승함.)


건설업 분야의 파업 비중 증가는


중국의 집값 하락으로 (2015.03)

중국의 건설업(Construction)이 


팍 죽어서 그런거 같아. ㅋㅋ (2015)


3. 중국 파업-2 요약


1) 중국 경제의 위축으로 파업이 큰폭으로 증가했음. 


2) 광둥성에서 파업이 많고 제조업 분야의 파업이 많음.


3) 중국 건설업의 침체로 건설업 쪽의 파업이 많아진 것 같음. 








4. 최근 이상현상 


 

 

 

중국의 건설업 노동자는 


 

 

(Born before 1980 : 80년 이전 출생)


전체 노동자 중에서 비중이 상당히 크고 (2015) 


 

저임금(wage)에 심하게 시달리는 분들이라 (2008)


 

중국의 건설경기가 운지하면 


중국의 파업은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하게 될 것이야. (2016.01)


 

 

그래서 중국의 구조조정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는데 (2016)


 

 

(5200억 달러 : 약 600조원) 


아니라 다를까,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을 엄청나게 많이 해서 (2016)


 

 

중국 상하이의 집값이


올초에 20% 넘게 상승했어. ㅋㅋ (2016.04)




 

이렇게 강력한 집값 상승으로


중국의 건설업이 회복 반전했는데 (2016.02)

 

 

중국의 민간부채 비율이 


버블붕괴급으로 높고 (2016)


중국 기업의 대금결제 기간이 계속 증가하는 등


안 좋은 모습도 있어서 지켜봐야할 것 같아. (2016)

 

 

 

4. 최근 이상현상 요약


1) 중국의 건설업이 침체되면 대규모 폭동이 생길 수도 있음. 


2) 중국 정부가 돈 풀기로 부동산 시장을 살리고 있음.


3) 상하이 집값이 20% 상승하고 건설업이 회복 반전함.